ESTsecurity

  • 전체보기 (539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실제 공격에서 발견된 은밀하고 새로운 Nerbian RAT 악성코드

      2022.05.12 by 알약4

    • Windows 11 KB5013943 업데이트 이후 블루스크린 등 문제 발생

      2022.05.12 by 알약4

    • Bitter 사이버 스파이, 새로운 악성코드로 남아시아 정부 노려

      2022.05.12 by 알약4

    • Saintstealer, Prynt Stealer 악성코드 패밀리 관련 세부 정보 공개돼

      2022.05.11 by 알약4

    • FluBot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새로운 SMS 캠페인 통해 핀란드 노려

      2022.05.11 by 알약4

    • 또 다른 Joker 앱 세트,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등장해

      2022.05.10 by 알약4

    • 전문가들, 러시아 해킹 포럼에서 판매되는 DCRat 백도어 경고해

      2022.05.10 by 알약4

    • F5 BIG-IP iControl REST 인증 우회 취약점(CVE-2022-1388) 주의!

      2022.05.09 by 알약4

    실제 공격에서 발견된 은밀하고 새로운 Nerbian RAT 악성코드

    New stealthy Nerbian RAT malware spotted in ongoing attacks 연구원의 탐지 및 분석을 회피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원격 액세스 트로이 목마인 Nerbian RAT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새로운 악성코드 변종은 Go로 작성되었으며, 크로스 플랫폼 64비트 공격으로 현재 매크로가 삽입된 파일을 첨부한 악성 이메일을 배포하는 소규모 캠페인을 통해 배포되고 있습니다. 해당 이메일 캠페인은 Proofpoint 연구원이 발견했으며, 새로운 Nerbian RAT 악성코드에 대한 보고서가 공개되었습니다. WHO 사칭해 Nerbian RAT를 배포하는 악성코드 캠페인은 세계보건기구(WHO)를 사칭해 타깃에 코로나 19 관련 정보를 전송하겠다고 주장했습니다. RAR..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12. 14:00

    Windows 11 KB5013943 업데이트 이후 블루스크린 등 문제 발생

    5월 패치화요일, MS는 최신 Windows 11 21H2 패치 화요일 업데이트를 릴리즈 하였습니다. 하지만 최신 누적업데이트 KB5013943에 문제가 존재하며, .NET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특정 앱과 충돌하여 블루스크린(BSOD), 검은 화면 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게 오류 코드 0xc0000135를 띄워줍니다. MS 피드백 허브를 살펴보면, 2022년 5월 업데이트 릴리즈 이후 해당 문제가 발생되며, 이 원인은 .NET 프레임워크와 Windows11간 호환성 문제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Windows 11에서 발생하는 KB5013943 문제 해결 방법 해당 문제는 .NET Framework와 관련된 것으로, 공식적인 수정사항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NET 프레임워크(..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12. 13:54

    Bitter 사이버 스파이, 새로운 악성코드로 남아시아 정부 노려

    Bitter cyberspies target South Asian govts with new malware 사이버 스파이 활동을 주로 실행하는 APT 그룹인 Bitter가 원격 파일 실행 기능을 갖춘 악성코드로 방글라데시 정부를 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캠페인은 최소 2021년 8월부터 진행되었으며, 2013년 이후 타겟팅 범위를 변경하지 않았습니다. 이 캠페인은 Cisco Talos의 연구원들이 발견 및 분석했습니다. Cisco Talos의 연구원은 이 캠페인이 Bitter의 과거 캠페인과 C2 IP 주소, 문자열 암호화 공통성, 모듈 명명 ​​체계 등이 유사하다는 이유를 들어 이를 Bitter의 작업으로 추정했습니다. 감염 체인 이 캠페인은 방글라데시 정부 내 다양한 조직을 노렸습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12. 09:00

    Saintstealer, Prynt Stealer 악성코드 패밀리 관련 세부 정보 공개돼

    Experts Detail Saintstealer and Prynt Stealer Info-Stealing Malware Familie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크리덴셜 및 시스템 정보를 빼내도록 설계된 인포 스틸러 악성코드인 Saintstealer에 대한 분석을 공개했습니다. Cyble의 연구원들은 지난주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해당 스틸러는 실행된 후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신용 카드 정보 등을 추출합니다.” "또한 시스템의 다양한 위치에서 데이터를 훔쳐 비밀번호로 보호된 ZIP 파일로 압축합니다." "saintgang.exe"라는 이름의 32비트 C# .NET 기반 실행 파일 형태인 Saintstealer는 샌드박스 또는 가상 환경에서 실행 중일 경우 자체적으로 종료되는 분석 방지..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11. 14:00

    FluBot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새로운 SMS 캠페인 통해 핀란드 노려

    FluBot Android malware targets Finland in new SMS campaigns 핀란드의 국가 사이버 보안 센터(NCSC-FI)가 SMS 및 MMS를 통해 배포되는 FluBot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감염이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FluBot은 정식 뱅킹 및 가상화폐 애플리케이션의 윗부분에 피싱 페이지를 오버레이하여 피해자의 금융 관련 크리덴셜을 훔치려 시도합니다. 또한 SMS 데이터에 접근하고, 전화를 걸고, 수신하는 알림을 모니터링하여 일반 로그인 크리덴셜 및 OTP와 같은 임시 인증 코드를 훔칠 수 있습니다. 해당 핀란드 당국은 지난해 단 24시간 만에 악성 메시지 7만 건이 전송된 것을 발견한 후 유사한 경고를 발행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지..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11. 09:00

    또 다른 Joker 앱 세트,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등장해

    Another Set of Joker Trojan-Laced Android Apps Resurfaces on Google Play Store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확산되는 새로운 트로이 목마 앱 세트가 해킹된 안드로이드 기기에 악명 높은 Joker 악성코드를 배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Joker는 과금 및 SMS 사기에 사용되는 악성 앱 클래스를 통칭하며 문자, 연락처, 기기 정보 등을 도용하는 등 여러 공격이 가능합니다. 구글의 지속적인 방어 시도에도 불구하고, 해당 앱은 계속해서 탐지되지 않은 채 앱 스토어로 침투했습니다. 카스퍼스키 연구원인 Igor Golovin은 지난주 발표한 보고서에서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공격자는 스토어에서 정식 앱을 다운로드 후 악성 코드를 추가한 다음 이름을..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10. 14:00

    전문가들, 러시아 해킹 포럼에서 판매되는 DCRat 백도어 경고해

    Experts Sound Alarm on DCRat Backdoor Being Sold on Russian Hacking Forum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전문 사이버 범죄 그룹과 초보자가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는 원격 액세스 트로이목마인 DCRat(DarkCrystal RAT)을 발견했습니다. BlackBerry 측은 보고서를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커스텀 악성코드를 제작하는 자금이 넉넉한 규모가 큰 러시아 그룹과는 달리, 이 원격 액세스 트로이 목마(RAT)는 공격자의 단독 작업으로 보이며 적은 가격으로 백도어를 여는 놀랍도록 효과적인 툴을 제공합니다.” 코드네임 "boldenis44", "crystalcoder"가 .NET으로 작성한 DCRat은 DCRat Stud..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10. 09:00

    F5 BIG-IP iControl REST 인증 우회 취약점(CVE-2022-1388) 주의!

    F5 BIG-IP는 미국 F5 회사의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애플리케이션 보안 관리, 로드 밸런싱 및 기타 기능을 통합한 애플리케이션 딜리버리 플랫폼입니다. 해당 취약점은 iControl REST 인증 미흡으로 인해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관리포트 및 또는 자체 IP 주소를 통해 BIG-IP 시스템에 대한 네트워크 엑세스 권한이 있는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임의의 시스템 명령을 실행하거나 파일 생성 혹은 삭제하거나 서비스를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 번호 CVE-2022-1388 영향받는 버전 BIG-IP 16.1.0 – 16.1.2 BIG-IP 15.1.0 – 15.1.5 BIG-IP 14.1.0 – 14.1.4 BIG-IP 13.1.0 – 13.1.4 BIG-IP 12.1..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9. 16:12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