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6)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9)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윈도우 이벤트 로그에 셸코드를 숨기는 새로운 파일리스 악성코드 발견

      2022.05.09 by 알약4

    • PrivateLoader PPI 서비스 통해 확산되는 새로운 NetDooka 악성코드 발견

      2022.05.09 by 알약4

    • TLStorm 2.0의 치명적인 버그, Aruba 및 Avaya 네트워크 스위치에 영향 미쳐

      2022.05.04 by 알약4

    • 라이브러리의 DNS 취약점, IoT 기기 수백만 대에 영향 미쳐

      2022.05.04 by 알약4

    • 중국의 "Override Panda" 해커들, 새로운 간첩 공격으로 돌아와

      2022.05.03 by 알약4

    • 구글의 SMTP 릴레이 서비스, 피싱 이메일 전송에 악용돼

      2022.05.03 by 알약4

    • 2021년, 가장 많이 악용된 취약점 TOP15

      2022.05.02 by 알약4

    • 다른 고객에게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노출시키는 Azure 취약점 발견

      2022.05.02 by 알약4

    윈도우 이벤트 로그에 셸코드를 숨기는 새로운 파일리스 악성코드 발견

    This New Fileless Malware Hides Shellcode in Windows Event Logs 실제 공격에서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통해 셸 코드를 숨기는 사례가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카스퍼스키 연구원인 Denis Legezo는 기술 문서를 발표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파일이 없는' 마지막 단계의 트로이 목마가 파일 시스템에서 눈에 잘 띄지 않게 숨을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알려진 공격자와의 연결점이 발견되지 않은 이 은밀한 감염 프로세스는 2021년 9월 의도된 타깃이 Cobalt Strike 및 Silent Break가 포함된 압축 .RAR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속이는 방식으로 시작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후 공격자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윈도우 시스템 프로세..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9. 14:00

    PrivateLoader PPI 서비스 통해 확산되는 새로운 NetDooka 악성코드 발견

    Hackers Using PrivateLoader PPI Service to Distribute New NetDooka Malware PrivateLoader로 알려진 PPI(pay-per-install) 악성코드 서비스가 NetDooka라는 꽤 정교한 프레임워크를 배포해 공격자가 감염된 장치를 완전히 제어하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rend Micro는 보고서를 발표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프레임워크는 PPI(pay-per-install) 서비스를 통해 배포되며 로더, 드로퍼, 보호 드라이버, 자체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한 완전한 기능을 갖춘 원격 액세스 트로이 목마(RAT) 등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Intel 471이 2022년 2월 문서화한 PrivateLoad..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9. 09:00

    TLStorm 2.0의 치명적인 버그, Aruba 및 Avaya 네트워크 스위치에 영향 미쳐

    Critical TLStorm 2.0 Bugs Affect Widely-Used Aruba and Avaya Network Switche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Aruba 및 Avaya 네트워크 스위치의 여러 모델의 TLS 프로토콜 구현 과정에 존재하는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 5가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기업 네트워크에 원격으로 접근하고 귀중한 정보를 훔치는 데 악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지난 3월 APC Smart-UPS 장치 내 치명적인 취약점 3개로 이루어진 TLStorm이 공개된 이후 발견되었으며, 공격자가 악용할 경우 제어권을 탈취해 최악의 경우 장비를 물리적으로 손상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취약점을 발견한 IoT 보안 회사인 Armis는 이 설계 취약점이 DigiCert..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4. 14:00

    라이브러리의 DNS 취약점, IoT 기기 수백만 대에 영향 미쳐

    A DNS flaw impacts a library used by millions of IoT devices Nozomi Networks에서 다수의 IoT 제품에서 사용되는 uClibc 라이브러리의 DNS 컴포넌트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22-05-02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모든 버전의 uClibc-ng 라이브러리 내 DNS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다양한 중요 인프라 부문에서 사용되는 라우터용 공통 OS인 OpenWRT용으로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DNS 포이즈닝 또는 DNS 스푸핑을 실행하여 피해자를 정식 웹 사이트가 아닌 악성 웹 사이트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Nozomi Networks는 권고문을 발행해 아래와 같이 밝혔..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4. 09:00

    중국의 "Override Panda" 해커들, 새로운 간첩 공격으로 돌아와

    Chinese "Override Panda" Hackers Resurface With New Espionage Attacks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Override Panda스파이 그룹이 최근 몇 주간 민감한 정보를 노리는 새로운 피싱 공격을 통해 다시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luster25는 지난 주 보고서를 발표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이 중국 APT는 스피어 피싱 이메일을 통해 'Viper'로 알려진 Red Team 프레임워크의 신호를 전달했습니다." "이번 공격의 대상은 아직까지 알 수 없지만, 해당 그룹의 과거 이력을 감안할 때 남아시아 국가의 정부 기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Naikon, Hellsing, Bronze Geneva라고도 불리는 Overrid..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3. 14:00

    구글의 SMTP 릴레이 서비스, 피싱 이메일 전송에 악용돼

    Google SMTP relay service abused for sending phishing emails 피싱 공격자들이 구글의 SMTP 릴레이 서비스를 악용하여 이메일 보안 제품을 우회하고 타깃 사용자에게 악성 이메일을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메일 보안 회사인 Avanan에서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4월부터 구글의 SMTP 릴레이 서비스를 악용하는 공격자가 갑자기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배포된 이메일은 4월 첫 2주 동안 최소 3만 건이었습니다. 공격의 세부 정보 구글은 Gmail 및 Google Workspace 사용자가 발신 이메일을 라우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3. 09:00

    2021년, 가장 많이 악용된 취약점 TOP15

    CISA는 2021년도에 가장 많이 악용된 취약점 상위 15개 취약점을 공개하였습니다. 2021년 공격자들은 주로 새로 공개된 취약점을 악용하여 이메일 서버 및 VPN 서버 등 인터넷 연결 시스템을 타깃으로 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미 알려져 있는 오래된 취약점도 사용되었습니다. CVE-2021-44228 CVE-2021-44228 취약점은 오픈소스 로깅 프레임워크인 Apache Log4j 라이브러리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Log4shell 취약점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시스템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한 시스템을 통하여 정보탈취, 랜섬웨어 실행 등 추가 악성행위도 가능합니다. ▶ [긴급] Apache Log4j 보안 취약점 대응 방안 안내 CVE-2021-268..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2. 15:01

    다른 고객에게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노출시키는 Azure 취약점 발견

    Microsoft Azure Vulnerability Exposes PostgreSQL Databases to Other Customers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목요일 PostgreSQL Flexible Server용 Azure Database에서 한 지역에서 무단 교차 계정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유발할 수 있는 취약점 2가지를 패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MSRC(Microsoft Security Response Center)는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공격자가 복제 사용자에 대한 Flexible Server 인증 프로세스의 권한 상승 취약점을 악용하여 적절하지 않은 정규 표현을 악용해 인증을 우회하여 다른 고객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이 취약점을 발견한 뉴욕의 클라우드 보안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5. 2. 14: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