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421)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421)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97)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4)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23)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1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러시아 정부 웹사이트 다수, 공급망 공격에 해킹돼

      2022.03.10 by 알약4

    • Intel 및 ARM 기반 CPU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Spectre 취약점 주의

      2022.03.10 by 알약4

    • 안드로이드, 2022년 3월 보안 업데이트로 치명적인 취약점 3건 수정

      2022.03.10 by 알약4

    • 리눅스 커널 로컬권한상승 취약점(CVE-2022-0847) 주의!

      2022.03.08 by 알약4

    • SharkBot 뱅킹 악성코드,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가짜 안드로이드 백신앱 통해 확산돼

      2022.03.08 by 알약4

    • 2가지 새로운 Mozilla Firefox 제로데이 취약점 주의!

      2022.03.07 by 알약4

    • 악성코드, 훔친 NVIDIA 코드 서명 인증서 사용해

      2022.03.07 by 알약4

    • 리눅스 커널 내 cgroup 기능의 CVE-2022-0492 취약점, 컨테이너 탈출 허용해

      2022.03.07 by 알약4

    러시아 정부 웹사이트 다수, 공급망 공격에 해킹돼

    Multiple Russian government websites hacked in a supply chain attack 러시아 연방 기관의 일부 웹사이트가 공급망 공격을 받아 해킹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격자는 일부 정부 기관의 방문자 수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통계 위젯을 해킹했습니다. 공격자는 이를 통해 웹 사이트를 해킹하고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the Interfax는 아래와 같이 보도했습니다. “화요일 저녁, 경제개발부가 관리하고 있는 국가기관 웹사이트 모니터링 시스템의 서비스(위젯) 해킹으로 인해 연방기관의 웹사이트 운영에 차질이 생겼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여러 국가 기관의 웹사이트에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해킹된 서비스는 공격을 받은 후 1시간 이내..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10. 14:00

    Intel 및 ARM 기반 CPU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Spectre 취약점 주의

    VUSec 보안연구그룹과 Intel은 BHI(Branch History Injection)라고 명명된 개념증명 취약점을 공개하였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익스플로잇은 최신 Alder Lake CPU와 일부 Arm 코어를 포함하여 최근 몇 년 동안 출시된 모든 Intel 프로세서에 영향을 미칩니다. 다만, AMD의 칩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공개된 새로운 익스플로잇은 Intel의 eIBRS와 Arm의 CSV2 완화조치를 우회할 수 있습니다. BHI는 권한 간 Spectre-v2 익스플로잇을 다시 활성화 하고 커널 간 익스플로잇을 허용하며 공격자가 커널 누출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전역 분기 예측 기록에 예측자 항목을 삽입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결과적으로 일부 CPU의 임의 커널 메모리가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10. 10:13

    안드로이드, 2022년 3월 보안 업데이트로 치명적인 취약점 3건 수정

    Android's March 2022 security updates fix three critical bugs 구글이 2022년 3월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해 안드로이드 10, 11, 12의 치명적인 취약점 3가지를 수정했습니다. 이 중 하나는 최신 버전의 모바일 OS를 실행하는 모든 기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CVE-2021-39708로 등록된 이 취약점은 안드로이드의 시스템 컴포넌트에 존재하며, 사용자의 상호 작용이나 추가 실행 권한이 필요하지 않은 권한 상승 취약점입니다. 구글은 보안 권고를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이 중 가장 심각한 이슈는 추가 실행 권한이 없이도 원격으로 권한을 상승시키도록 허용하는 시스템 컴포넌트 내 심각한 보안 취약점입니다. 이 취약점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없이도 악용..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10. 09:00

    리눅스 커널 로컬권한상승 취약점(CVE-2022-0847) 주의!

    3월 7일, 보안 연구원 Max Kellermann은 새로운 리눅스 취약점을 공개하였으며, Dirty Pipe(CVE-2022-0847)라 명명하였습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면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루트 권한으로 실행되는 SUID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읽기 전용 파일에 데이터를 삽입하고 덮어쓸 수 있습니다. Dirty Pipe 취약점은 2016년에 수정된 Dirty COW 취약점(CVE-2016-5195)와 그 원리가 유사합니다. 영향받는 버전 리눅스 커널 5.8버전 이상 5.16.11/5.15.25/5.10.102 이하 버전 패치방법 리눅스 커널 5.16.11/5.15.25/5.10.102 버전으로 업데이트 ​ 참고 : https://www.zdnet.com/article/dirty-pipe-linux..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8. 15:31

    SharkBot 뱅킹 악성코드,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가짜 안드로이드 백신앱 통해 확산돼

    SharkBot Banking Malware Spreading via Fake Android Antivirus App on Google Play Store 안드로이드 뱅킹 트로이목마인 SharkBot이 바이러스 백신 앱으로 위장해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보안을 우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harkBot은 TeaBot, FluBot, Oscorp(UBEL)와 마찬가지로 다단계 인증 메커니즘을 우회해 해킹된 기기에서 자금을 이체하기 위해 크리덴셜을 탈취하는 뱅킹 트로이 목마입니다. 이는 2021년 11월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위 악성코드와 SharkBot의 다른 점은 ATS(자동 전송 시스템)를 통해 승인받지 않은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Teabot이 악성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라이브 운영자가..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8. 09:00

    2가지 새로운 Mozilla Firefox 제로데이 취약점 주의!

    2 New Mozilla Firefox 0-Day Bugs Under Active Attack — Patch Your Browser ASAP! Mozilla는 Firefox 브라우저의 대역 외 업데이트를 공개하였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현재 적극적으로 악용되고 있는 두 가지 심각한 보안 취약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패치된 두가지 제로데이 취약점은 XSLT(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 매개변수 처리 및 WebGPU 프로세스 간 통신(IPC)에 영향을 미치는 use-after-free 이슈 입니다. XSLT는 XML 문서를 웹 페이지 또는 PDF 문서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XML 기반 언어인 반면, WebGPU는 현재 WebGL JavaSc..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7. 16:40

    악성코드, 훔친 NVIDIA 코드 서명 인증서 사용해

    Malware now using NVIDIA's stolen code signing certificates 공격자들이 훔친 NVIDIA 코드 서명 인증서로 악성코드에 서명해 해당 코드를 신뢰할 수 있는 것처럼 위장하고 악성 드라이버를 윈도우에 로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주, NVIDIA는 사이버 공격을 받아 직원의 크리덴셜과 독점 데이터가 도난 당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Lapsus$로 알려진 공격 그룹은 공격을 통해 데이터 1TB 상당을 훔쳤고, NVIDIA가 협상을 거절하자 온라인에 데이터를 공개하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사고에서 NVIDIA 개발자가 드라이버와 실행 파일에 서명하는 데 사용한 코드 서명 인증서 2개 유출되었습니다. 코드 서명 인증서를 사용할 경우 개발자가 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7. 14:00

    리눅스 커널 내 cgroup 기능의 CVE-2022-0492 취약점, 컨테이너 탈출 허용해

    CVE-2022-0492 flaw in Linux Kernel cgroups feature allows container escape 공격자가 이미 패치된 심각도 높은 리눅스 취약점인 CVE-2022-0492(CVSS 점수: 7.0)를 악용하여 컨테이너를 탈출하여 호스트에서 임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문제는 프로세스 모음의 리소스 사용량(CPU, 메모리, 디스크 I/O, 네트워크 등)을 제한, 처리, 격리하는 리눅스 커널 기능인 제어 그룹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권한 상승 취약점입니다. . 해당 취약점 관련 권고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했습니다. “kernel/cgroup/cgroup-v1.c 기능의 Linux 커널 cgroup_release_agent_write에서 취약점이 발..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7.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