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95)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7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 국내외 보안동향 (2791)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23)
      • 전문가 기고 (129)
      • 보안툰 (31)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7) N
        • PC&모바일 TIP (112)
        • 스미싱 알림 (604)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국내외 보안동향

    • Cisco Expressway 시리즈, TelePresence VCS 제품의 치명적인 취약점 수정돼

      2022.03.04 by 알약4

    • 우크라이나의 HermeticRansom 랜섬웨어 피해자용 무료 복호화 툴 공개돼

      2022.03.04 by 알약4

    • 우크라이나 연구원, Conti 랜섬웨어의 소스코드 유출시켜

      2022.03.03 by 알약4

    • 해커들, TCP Middlebox 반사 무기화를 통한 증폭된 DDoS 공격 실행해

      2022.03.03 by 알약4

    • TrickBot 악성코드, AnchorDNS 백도어를 AnchorMail로 업그레이드해

      2022.03.02 by 알약4

    • TeaBot 악성코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잠입해 미국 사용자들 노려

      2022.03.02 by 알약4

    • 칩 제조 대기업인 Nvidia, 랜섬웨어 공격 받아

      2022.02.28 by 알약4

    • ‘파일리스’ SockDetour 백도어, 미 방위산업체 노려

      2022.02.28 by 알약4

    Cisco Expressway 시리즈, TelePresence VCS 제품의 치명적인 취약점 수정돼

    Critical Patches Issued for Cisco Expressway Series, TelePresence VCS Products Cisco에서 Expressway Series, Cisco TelePresence VCS(Video Communication Server)에 존재하는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을 수정하는 패치를 공개했습니다. CVE-2022-20754, CVE-2022-20755(CVSS 점수: 9.0)로 등록된 이 두 취약점은 두 제품의 API 및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 내 임의 파일 쓰기, 명령 주입 취약점이며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이 두 문제 모두 사용자가 제공한 명령 인수의 입력 유효성 검사가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취약점..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4. 14:00

    우크라이나의 HermeticRansom 랜섬웨어 피해자용 무료 복호화 툴 공개돼

    Free decryptor released for HermeticRansom victims in Ukraine Avast에서 지난 10일 동안 우크라이나 시스템을 노린 타깃형 공격에 사용된 HermeticRansom 랜섬웨어에 대한 복호화 툴을 공개했습니다. 해당 복호화 툴은 Avast의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하며, 우크라이나 시민이 데이터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난 2월 23일, ESET 연구원은 러시아 군대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불과 몇 시간 전 HermeticRansom 배포의 첫 징후를 확인하였습니다. 취약한 변종의 미끼 해당 랜섬웨어 변종은 컴퓨터 웜인 HermeticWizard와 함께 배포되었으며, 금전을 갈취하기 보다 데이터 와이퍼 공격의 미끼 역할을 했..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4. 09:00

    우크라이나 연구원, Conti 랜섬웨어의 소스코드 유출시켜

    Ukrainian researcher leaked the source code of Conti Ransomware 최근 한 우크라이나 연구원이 Conti 랜섬웨어 작업과 관련된 내부 채팅 메시지 60,694건을 유출시켰습니다. 그는 Conti 그룹의 데이터베이스 XMPP 채팅 서버에 접근이 가능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onti 랜섬웨어는 우크라이나를 공격하는 러시아 정부를 지지한다는 공지를 게시한 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Conti랜섬웨어에 대한 공격 및 데이터 유출은 러시아를 지원하는 운영진에 대한 보복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Conti의 파트너 중 다수가 우크라이나 그룹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해당 공격은 그룹의 운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데이터를 유출한 연구원은 더 많은 데이터 덤프를 공..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3. 14:00

    해커들, TCP Middlebox 반사 무기화를 통한 증폭된 DDoS 공격 실행해

    Hackers Begin Weaponizing TCP Middlebox Reflection for Amplified DDoS Attacks ‘TCP 미들박스 반사(TCP Middlebox Reflection)’라는 새로운 증폭 기술을 활용하는 DDoS 공격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공격은 새로운 공격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이 나온지 6개월 만에 처음으로 탐지되었습니다. Akamai 연구원들은 지난 화요일 보고서를 발표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이 공격은 취약한 방화벽과 콘텐츠 필터링 시스템을 악용해 피해자 시스템에 대한 TCP 트래픽을 반사 및 증폭시켜 강력한 DDoS 공격을 생성해 냅니다." "이러한 공격 유형은 DDoS 공격의 난이도를 위험할 정도로 낮춥니다. 공격자는 경우에 따라 1/75만큼 적은 대..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3. 09:00

    TrickBot 악성코드, AnchorDNS 백도어를 AnchorMail로 업그레이드해

    TrickBot Malware Gang Upgrades its AnchorDNS Backdoor to AnchorMail TrickBot 인프라는 운영을 중단했지만, 해당 악성코드의 운영자는 Conti 랜섬웨어의 배포로 이어지는 공격을 수행하기 위해 그들의 무기고를 계속해서 재정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BM Security X-Force는 해당 조직의 AnchorDNS 백도어의 개선된 버전을 발견해 AnchorMail이라 명명했습니다. IBM의 악성코드 리버스 엔지니어인 Charlotte Hammond는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AnchorMail은 TLS를 통해 SMTP 및 IM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이메일 기반 명령 및 제어 서버를 사용합니다." "변경된 C2 통신 메커니즘을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2. 14:00

    TeaBot 악성코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잠입해 미국 사용자들 노려

    TeaBot malware slips back into Google Play Store to target US users TeaBot 뱅킹 트로이 목마가 또 다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QR 코드 앱으로 위장해 이미 기기 1만대 이상을 감염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작자들은 이미 지난 1월 이러한 전략을 사용한 전적이 있으며, 구글은 이를 퇴출시켰지만 악성코드 제작자는 또 다시 안드로이드 공식 앱 스토어에 침투할 방법을 찾은 것으로 보입니다. 온라인 사기 관리 및 예방 회사인 Cleafy에서 발행한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드롭퍼의 역할을 합니다. 앱 자체에는 악성코드가 없으며 최소한의 권한을 요청하기 때문에 구글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입니다. 또..

    국내외 보안동향 2022. 3. 2. 09:00

    칩 제조 대기업인 Nvidia, 랜섬웨어 공격 받아

    Chipmaker giant Nvidia hit by a ransomware attack 칩 제조 대기업인 Nvidia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지난 며칠 동안 일부 시스템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한 관계자는 해당 사고에 대해 현재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고로 인해 회사의 개발자 툴 및 이메일 시스템 또한 영향을 받았지만, 비즈니스 및 상업 활동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습니다. Nvidia는 성명을 발표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당사의 비즈니스 및 상업 활동은 중단 없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해당 사고의 성격 및 범위를 평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추가 정보를 공유할 수 없습니다.” 회사는 사고의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사건을 조사하고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2. 28. 14:00

    ‘파일리스’ SockDetour 백도어, 미 방위산업체 노려

    Fileless SockDetour backdoor targets U.S.-based defense contractors Palo Alto Networks의 Unit 42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미국에 기반을 둔 방위 산업체를 노리는 새로운 커스텀 백도어인 SockDetour를 발견해 분석했습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SockDetour 백도어는 적어도 2019년 7월부터 실제 공격에서 사용되었습니다. Unit 42는 이 악성코드가 TiltedTemple(DEV-0322라고도 알려짐)이라는 APT 캠페인의 작업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공격자는 Zoho ManageEngine ADSelfService Plus 취약점(CVE-2021-40539) 및 ServiceDesk Plus 취약점(CVE-2021-4407..

    국내외 보안동향 2022. 2. 28.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349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