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7)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2)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N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N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Onyx 랜섬웨어, 대용량 파일 암호화 대신 파괴해

      2022.04.28 by 알약4

    • ESRC 3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2022.04.28 by 알약3

    • Conti 랜섬웨어, 최근 유출에도 여전히 급증해

      2022.04.28 by 알약4

    • 스마트폰이 해킹 당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22.04.28 by 알약4

    • 정교한 공격을 허용하는 리눅스의 Nimbuspwn 취약점 발견

      2022.04.28 by 알약4

    • [당첨자발표] eGISEC 2022 이스트시큐리티 부스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22.04.27 by 알약5

    • Stormous 랜섬웨어 그룹, 코카콜라 해킹했다고 주장해

      2022.04.27 by 알약4

    • Log4Shell 취약점, 여전히 위험해

      2022.04.27 by 알약4

    Onyx 랜섬웨어, 대용량 파일 암호화 대신 파괴해

    PSA: Onyx ransomware destroys large files instead of encrypting them MalwareHunterTeam은 최근 Onyx라는 새로운 랜섬웨어를 발견하였습니다. Onyx 랜섬웨어 공격자는 다른 랜섬웨어와 마찬가지로 파일 암호화 전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훔칩니다. 그 후, 랜섬머니를 지불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공개하겠다고 협박합니다. 데이터 유출 사이트에는 현재까지 6명의 희생자가 공개되었습니다. 하지만 Onyx는 200MB미만의 파일만 암호화 하고, 200MB보다 큰 파일의 경우 임의의 데이터로 덮어씁니다. 이는 무작위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덮어쓰기 때문에, 200MB를 초과하는 파일의 경우 복호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즉, 피해자가 랜섬머니를..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28. 15:50

    ESRC 3월 스미싱 트렌드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3월의 주요 스미싱 공격은 여전히 택배를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택배를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 공격은 94.8%로 2월 대비 20.02% 증가했습니다. 뒤를 이어 건강검진을 키워드로 하는 스미싱 공격이 3.01%를 차지하고 있으며 2월 대비 10.56% 감소했습니다. 보이스피싱을 유도하는 내용의 스미싱 공격이 1.62%를 차지하고 있으며 2월 대비 4.99% 감소했으며, 수사기관을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은 0.47% 2월 대비 3.53% 감소하고 있습니다. 위 통계를 살펴보면 택배 키워드는 여전히 공격자들에게 매력적인 키워드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유형의 키워드를 활용하는 스미싱들은 감소세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2. 4. 28. 15:47

    Conti 랜섬웨어, 최근 유출에도 여전히 급증해

    Conti ransomware operations surge despite the recent leak Secureworks의 연구원들이 러시아에 기반을 둔 공격자인 Gold Ulrick으로 추적되는 Conti 랜섬웨어 그룹이 최근 내부 활동에 대한 데이터가 유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계속해서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그룹의 활동은 2021년 정점을 찍었던 수준으로 되돌아갔습니다. 해당 그룹은 이들의 통신, 소스코드, 운영 세부 정보가 공개된 것에 대해 신속히 대응했습니다. Secureworks Conter Threat Unit(CTU)에서는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2022년 2월 Conti의 누출 사이트에 등록된 피해자의 수가 증가했습니다. 2월 27일, 트위터 계정 @ContiLeaks..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28. 14:00

    스마트폰이 해킹 당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스미싱 공격이 꾸준히 진행되고 그 형태도 고도화되고 다양해 지고 있어, 많은 사용자들의 피해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스미싱 공격에 당했을 경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휴대폰 공장 초기화 입니다. 공장 초기화를 진행하면 휴대폰에 설치된 악성 앱이 모두 삭제되기 때문에 더 이상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휴대폰 공장 초기화가 불가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에 ESRC에서는 최근 유포되고 있는 스미싱 문자의 유형을 정리하고, 악성앱 설치하였을 경우 대처 방안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스미싱 유형 1) 무단 결제 위장 스미싱 무단 결제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사용자를 속여 고객센터로 전화를 하도록 유도하는 스미싱 입니다. 만일 사용..

    전문가 기고 2022. 4. 28. 13:22

    정교한 공격을 허용하는 리눅스의 Nimbuspwn 취약점 발견

    Linux Nimbuspwn flaws could allow attackers to deploy sophisticated threats 마이크로소프트의 365 Defender 연구 팀이 두 가지 Linux 권한 상승 취약점(CVE-2022-29799, CVE-2022-29800)으로 이루어진 "Nimbuspwn"을 발견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권고를 통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이 취약점을 함께 연결해 리눅스 시스템에서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어, 공격자가 루트 백도어와 같은 페이로드를 배포하고 임의 루트 코드 실행을 통해 기타 악성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타깃 시스템에 대한 루트 접근 권한을 얻고, 랜섬웨어 등 보다 정교한 공격을 실행하기 위해 약용이 가능합니다. 이 ..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28. 09:00

    [당첨자발표] eGISEC 2022 이스트시큐리티 부스 이벤트 당첨자 발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지난 4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일산 KINTEX에서 진행된 eGISEC 2022 이스트시큐리티 부스에서 진행된 ‘설문조사 및 명함 이벤트’에 보여주신 많은 성원에 감사 드립니다.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 말씀 드립니다. 당첨되신 고객님들께 진심으로 축하를 전하며, 아쉽게 미당첨 되셨더라도 앞으로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 고객과 함께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이오니, 이스트시큐리티에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 드립니다. ※ eGISEC 2022 이스트시큐리티 부스 이벤트 · 기간 : 2022년 4월 20일~22일 · 당첨자 발표 : 2022년 4월 27일 · 대상 : 행사기간 내 이스트시큐리티 부스(#P25)에서 설문조사 이벤트와 명함 이벤트를 참..

    이벤트 2022. 4. 27. 16:59

    Stormous 랜섬웨어 그룹, 코카콜라 해킹했다고 주장해

    Stormous ransomware gang claims to have hacked Coca-Cola Stormous 랜섬웨어 그룹이 그들의 유출 사이트에 글로벌 음료 회사인 Coca-Cola Company를 해킹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해킹 그룹은 회사의 일부 서버를 해킹한 후 161GB에 달하는 데이터를 훔쳤다고 밝혔습니다. 이 해킹 그룹은 최근 텔레그램 채널 회원들에게 다음 타깃 회사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설문 조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 코카콜라가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해당 해킹 그룹은 공지를 통해 아래와 같이 알렸습니다. “대규모 음료회사(코카콜라)가 투표로 선정되었기 때문에, 이들의 그들의 서버 중 일부를 해킹하고 161GB의 데이터를 훔쳤습니다.” “다크 웹의 우리 자체 웹사이트에 스..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27. 14:00

    Log4Shell 취약점, 여전히 위험해

    Public interest in Log4Shell fades but attack surface remains Apache Log4j에 존재하는 취약점 Log4shell이 발견된지 4개월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Rezilion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여전히 많은 제품들이 해당 취약점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Log4shell은 여전히 많은 SW에 존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Sonatype의 Log4j Download Dashboard를 살펴보면, 약 40%의 꾸준한 비율이 4월 말에도 취약한 Log4j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구글의 오픈소스 인사이트 데이터를 보면, Log4j에 의존해서 사용하는 오픈소스 패키지의 17,804개 중 7,14..

    국내외 보안동향 2022. 4. 27. 11:35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671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