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9)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4)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9)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4)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Trojan.Android.KR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1.05.21 by 알약5

    • 이스트시큐리티, eGISEC 2021 참가 현장을 소개합니다!

      2021.05.21 by 알약5

    • 자녀 사칭에 이어 연예인 사칭까지! 나날이 발전하는 '스미싱 예방 방법' 알아보기

      2021.05.21 by 알약5

    • Trojan.Ransom.DarkSid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2021.05.20 by 알약5

    • Judge 랜섬웨어의 변종인 NoCry 랜섬웨어 발견

      2021.05.20 by 알약4

    • 안드로이드 스토커웨어에서 개인정보 위협하는 취약점 발견

      2021.05.18 by 알약4

    •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5월 둘째주)

      2021.05.18 by 알약1

    • 전문가들, 윈도우용 CVE-2021-31166 버그용 PoC 익스플로잇 공개

      2021.05.18 by 알약4

    Trojan.Android.KRBanker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은행을 사칭하는 스미싱 공격의 특징은 링크로 접속 시 은행의 대출 관련 내용으로 꾸며진 가짜 웹페이지를 노출시킵니다는 점입니다. 때마침 피해자가 대출에 관심이 있다면 악성 앱을 다운로드해 설치하게 되며 공격자는 설치된 악성 앱을 통해 피해자의 개인 정보를 탈취하여 2차 공격인 보이스피싱을 수행하게 됩니다. Trojan.Andorid.KRBanker 공격은 2차 공격을 통한 금전 갈취가 주요 목적입니다. 스미싱 공격의 표적이 되어 금전 갈취를 당하게 된다면 피해자는 경제적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스미싱 공격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런 스미싱 공격들의 피해 예방은 보기보다 간단합니다. 수신 문자의 내..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5. 21. 09:00

    이스트시큐리티, eGISEC 2021 참가 현장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지난 5월 12일(수)부터 14일(금)까지 3일간 일산 KINTEX에서 진행된 '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이하 eGISEC) 2021' 참가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올해로 9회차를 맞은 eGISEC 2021 행사는 행정안전부에서 주최하고, (주)더비엔에서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보안 컨퍼런스입니다. 올해는 총 350개 기업, 18,500여 명의 참관객이 해당 행사에 참여하면서, 엄격한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안전하게 개최되었습니다. eGISEC 2021은 실제 필요한 정보화 및 정보보호 솔루션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장으로서 보안 솔루션에 관심있는 기업들의 소통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회에서 이스트시큐리티는 기업과 기관의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2021. 5. 21. 09:00

    자녀 사칭에 이어 연예인 사칭까지! 나날이 발전하는 '스미싱 예방 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입니다. 여러분 혹시 문자나 카카오톡으로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받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다양한 사칭 스미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가족 사칭 스미싱 주의! 최근 자녀 이름을 사칭해 “핸드폰이 고장났다”며 가족들에게 금전을 부탁하는 형태의 스미싱 문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스미싱 메시지는 자녀를 사칭하기 때문에 기존 URL을 통해 정보를 빼내던 피싱 사례보다 더욱 교묘하고 지능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이 특징인데요. 가족이라는 점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2. 사칭은 일반인만 당한다는 편견은 NO! 연예인 사칭 주의보! 사칭 스미싱 메시지는 가족 뿐만 아니라 연예인을 사칭하는 경우도 많은데요. 최..

    안전한 PC&모바일 세상/PC&모바일 TIP 2021. 5. 21. 09:00

    Trojan.Ransom.DarkSide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입니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지난 7일 동유럽 해킹 집단 '다크사이드'의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버지니아, 사우스캐롤라이나 등 미국에서 주유 난이 시작되었습니다. 해당 집단은 지난달에도 이탈리아 최대 협동조합 신용 은행을 공격하여 시스템을 마비시켰습니다. DarkSide 랜섬웨어는 사용자 PC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입니다.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로 사용자 PC에 악성 행위 로그를 남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로컬 드라이브와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된 모든 파일을 암호화 대상에 포함하고 C&C 연결을 하지 않아도 암호화되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 폐쇄망을 사용하는 기업들도 랜섬웨어 공격에 더 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5. 20. 09:00

    Judge 랜섬웨어의 변종인 NoCry 랜섬웨어 발견

    Analysis of NoCry ransomware: A variant of the Judge ransomware Tesorion의 연구원들이 Judge 랜섬웨어용 복호화 툴을 공개했습니다. 이 복호화 툴은 NoCry 랜섬웨어로 암호화된 파일 또한 복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월 초, 연구원들은 Judge 랜섬웨어에 대한 분석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NoMoreRansom 이니셔티브를 통해 사용이 가능한 Judge 랜섬웨어용 무료 복호화 툴 또한 공개했습니다. 몇 달 후, Bleeping Computer에서는 Stupid 랜섬웨어의 새로운 변종인 NoCry에 대한 기사를 게시했습니다. 이 변종은 GrujaRS에서 발견했습니다. 처음 Judge 랜섬웨어를 분석했을 때, 바이너리 내에서 NoCr..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20. 09:00

    안드로이드 스토커웨어에서 개인정보 위협하는 취약점 발견

    Android stalkerware, a danger for victims and stalkers ESET이 흔히 사용되는 Android 스토커웨어 앱에서 피해자의 개인정보 및 보안을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spouseware’로도 알려진 모바일 스토커웨어는 스토커가 피해자를 스파잉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앱을 사용할 경우 기기의 GPS 위치를 수집하고, 대화를 도청하고, 기기에 저장된 브라우징 히스토리 및 이미지, 기타 민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연구원들은 이러한 종류의 소프트웨어가 지난 몇 년 동안 매우 인기가 높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온라인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개발자는 이 애플리케이션을 어린이용 보호 솔루션이라 광고..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18. 14:00

    ESRC 주간 Email 위협 통계 (5월 둘째주)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입니다. ESRC에서는 자체 운영 중인 이메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해 이메일 중심의 공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05월 09일~05월 15일까지의 주간 통계 정보입니다. 1. 이메일 유입량 지난주 이메일 유입량은 총 131건이고 그중 악성은 63건으로 48.09%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악성 이메일의 경우 그 전주 32건 대비 63건으로 31건이 증가했습니다. 일일 유입량은 하루 최저 1건(악성 1건)에서 최대 29건(악성 15건)으로 일별 편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메일 유형 악성 이메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63건 중 Attach-Malware형이 42.9%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Attach-Phishin..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5. 18. 09:30

    전문가들, 윈도우용 CVE-2021-31166 버그용 PoC 익스플로잇 공개

    Expert released PoC exploit code for Windows CVE-2021-31166 bug 마이크로소프트가 2021년 5월 ‘패치 화요일’ 보안 업데이트를 통해 치명적인 HTTP 프로토콜 스택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인 CVE-2021-31166을 포함한 보안 취약점 55개를 수정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HTTP 프로토콜 스택(http.sys)을 활용하는 타깃 서버에 특수 제작한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악용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내장 IIS 서버에서 이 스택을 사용하며, 다시 말해 서버가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악용하기가 쉬움을 의미합니다. 이 취약점은 웜이 가능하며 윈도우 10, 윈도우 서버 2004, 윈도우 서버 20H2의 여..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18.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16 217 218 219 220 221 222 ··· 67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