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security

  • 전체보기 (5369)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4)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보기 (5369) N
      • 이스트시큐리티 소식 (364) N
      • 국내외 보안동향 (2789)
      •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1219)
      • 전문가 기고 (195)
      • 보안툰 (29)
      • 안전한 PC&모바일 세상 (714)
        • PC&모바일 TIP (115)
        • 스미싱 알림 (598)
      • 알약人 이야기 (67)
      • 이벤트 (5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보기

    • 미국과 호주, 증가하는 Avaddon 랜섬웨어 공격에 대해 경고

      2021.05.11 by 알약4

    • 국내 중소기업 위장한 피싱 메일 유포중!

      2021.05.10 by 알약4

    • PDF를 통한 악성코드 실행 허용하는 Foxit Reader 취약점 수정

      2021.05.10 by 알약4

    • 미 Colonial Pipeline, 사이버 공격으로 운영 중단돼

      2021.05.10 by 알약4

    • [스미싱] 우체국화물 반송처리중 주소지 확인부탁드립·니다

      2021.05.07 by 알약3

    • 탈륨 조직, 2021년 외교부 재외공관 복무 관련 실태 조사 위장 공격

      2021.05.07 by 알약4

    • DNS 서버에 DDoS 공격을 허용하는 새로운 TsuNAME DNS 취약점 발견

      2021.05.07 by 알약4

    • 해커가 안드로이드 기기를 스파잉하도록 허용하는 Qualcomm 칩 취약점 발견

      2021.05.07 by 알약4

    미국과 호주, 증가하는 Avaddon 랜섬웨어 공격에 대해 경고

    US and Australia warn of escalating Avaddon ransomware attacks FBI와 호주 ACSC가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광범위한 부문의 조직을 노리는 Avaddon 랜섬웨어 캠페인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FBI는 지난 주 TLP:GREEN 긴급 알림을 통해 Avaddon 랜섬웨어가 전 세계 제조, 의료, 기타 민간 부문 조직의 네트워크를 침해하려 시도한다고 밝혔습니다. ACSC는 해당 랜섬웨어의 협력자들이 정부, 금융, 법집행부, 에너지, IT 및 건강을 포함한 광범위한 분야의 다양한 조직을 노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FBI는 현재 진행 중인 공격만 언급했지만, ACSC는 미국, 영국, 독일, 중국, 브라질, 인도, UAE, 프랑스, ​​스페인을 포함한 공격 대상..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11. 09:00

    국내 중소기업 위장한 피싱 메일 유포중!

    안녕하세요. ESRC(시큐리티 대응센터)입니다. 최근 국내 중소기업 임직원 메일 계정을 사칭한 피싱 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관련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발견된 메일 중 지난 5월 7일에 발견된 메일은 경기 지역에 위치한 한 기계 제조업체의 임직원 이름과 이메일 계정을 사칭하였으며, 해당 업체명이 포함된 '00테크 견적서'라는 제목을 사용했습니다. 발신자로 사용된 직원 이름은 해당 기업명 구글 검색 결과 중 우선 순위가 높게 나타나는 LinkedIn 프로필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LinkedIn 프로필 상에 나타난 지역과 이메일에 포함된 연락처 지역 번호를 일치시킴으로써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메일에는 견적서를 전달 드린다는 내용과 함께 'Darim Tech Quote 21_0..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5. 10. 16:19

    PDF를 통한 악성코드 실행 허용하는 Foxit Reader 취약점 수정

    Foxit Reader bug lets attackers run malicious code via PDFs Foxit Reader의 제작사인 Foxit 소프트웨어가 해당 PDF 리더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원격 코드 실행(RCE) 취약점을 수정하는 보안 업데이트를 공개했습니다. 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공격자는 사용자의 윈도우 컴퓨터에서 악성코드를 실행할 수 있어 잠재적으로 제어권을 탈취할 수 있게 됩니다. Foxit은 전 세계 200개 국가의 사용자 6억 5천만 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10만 명 이상의 고객이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이 회사의 기업 고객은 Google, Intel, NASDAQ, Chevron, British Airways, Dell, HP, Lenovo, ..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10. 14:00

    미 Colonial Pipeline, 사이버 공격으로 운영 중단돼

    A cyberattack shutdown US Colonial Pipeline 앨라배마 주 펠햄에 위치한 Colonial Pipeline 시설이 사이버 공격을 받아 시스템 운영이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파이프라인은 텍사스 동부 해안 지역에서부터 뉴욕까지 매일 250만 배럴의 정제된 휘발유 및 제트 연료를 운반할 수 있으며, 이는 동부 해안 연료 공급량의 45%를 담당합니다. 더 뉴욕 타임즈는 이 사건에 대해 아래와 같이 보도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Colonial Pipeline 시스템의 운영자는 컴퓨터 네트워크 침해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동부 해안 연료 공급의 45%를 운반하는 파이프라인 5,500마일의 운영을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파이프라인에 방해가 있었지만 공격의 직접적인 결과인지 여..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10. 09:00

    [스미싱] 우체국화물 반송처리중 주소지 확인부탁드립·니다

    [5월 첫 번째 주] 알약 스미싱 알림 본 포스트는 알약M 사용자 분들이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알약으로 신고해 주신 스미싱 내역 중 '특이 문자'를 자체 수집, 집계하여 제공해 드리는 정보성 포스트입니다. 특이 문자 No. 문자내용 1 우체국화물 반송처리중 주소지 확인부탁드립·니다 hxxp://tinyurl[.]com/xxxxxxxx 2 화물 배송 세부 정보를 보려면 클-릭하십시오 hxxp://tinyurl[.]com/xxxxxxxx 3 구매 한 상품이 배송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아래 URL을 클릭하십.시오 hxxp://tinyurl[.]com/xxxxxxxx 4 결제하신 물품 반송처리중 주소지 확인부탁드립니다 hxxp://tinyurl[.]com/xxxxxxxx 5 [Web발신]한국의료재..

    안전한 PC&모바일 세상/스미싱 알림 2021. 5. 7. 16:19

    탈륨 조직, 2021년 외교부 재외공관 복무 관련 실태 조사 위장 공격

    안녕하세요?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입니다. 최근 외교부에서 발행한 것처럼 위장한 악성 파일이 발견되어 관련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해당 공격을 수행한 배후 세력으로는 북한 정부 지원 해커 조직인 ‘탈륨 (Thallium)’이 지목되었으며, 내부 문자열 암호화 방식이 기존 탈륨(Thallium) APT 조직의 ‘블루 에스티메이트 (Blue Estimate)’ 캠페인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번 공격은 지난 4월에 발견된 ‘2021년 외교부 재외공관 복무 관련 실태 조사’ 관련 해킹 시도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의심됩니다. 새로 발견된 악성 파일은 2021년 5월 7일 날짜로 발행된 외교부 대변인실 표지의 가판 뉴스가 담긴 정상 PDF 파일 내용을 사용함으로써 수신자의 의심을 최소화..

    악성코드 분석 리포트 2021. 5. 7. 16:12

    DNS 서버에 DDoS 공격을 허용하는 새로운 TsuNAME DNS 취약점 발견

    New TsuNAME DNS bug allows attackers to DDoS authoritative DNS servers 공격자들이 TsuNAME로 알려진 새로운 DNS 취약점을 대규모 DDoS 공격의 증폭 벡터로 이용하여 권한(authoritative) DNS 서버를 공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NS 서버는 웹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고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을 시도할 때 일반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쿼리하는 재귀 DNS 서버에 해당 정보를 전달합니다. 권한 DNS(Authoritative DNS) 서버는 일반적으로 정부 및 ISP, 전 세계 기술 대기업을 포함한 민간 조직에서 관리합니다. DNS 쿼리를 이용하여 권한 서버에 DDoS 공격 실행해 TsuNAME DNS 취약점을 악용..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7. 14:00

    해커가 안드로이드 기기를 스파잉하도록 허용하는 Qualcomm 칩 취약점 발견

    New Qualcomm Chip Bug Could Let Hackers Spy On Android Devices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Qualcomm의 MSM(mobile station modem)에 존재하는 새로운 보안 취약점을 공개했습니다.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악용하여 탐지되지 않은 채 모바일 기기에 악성코드를 설치하도록 잠재적으로 허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heck Point의 연구원들은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밝혔습니다. “공격자가 이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안드로이드 OS 자체를 진입점으로 이용하여 기기에 보이지 않는 악성코드를 주입하고, SMS 메시지 및 전화 통화 오디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CVE-2020-11292로 등록된 이 힙 오버..

    국내외 보안동향 2021. 5. 7. 09:00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19 220 221 222 223 224 225 ··· 672
    다음
    • 운영정책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주)이스트시큐리티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3 이스트빌딩 (우) 06711 대표이사:정진일 사업자등록번호 548-86-004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7-서울서초-0134호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블로그 Ⓒ ESTsecurity, ALL RIGHTS RESERVED.
    패밀리 사이트
    •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
    • 이스트시큐리티 페이스북
    • 이스트시큐리티 트위터
    • 이스트소프트 홈페이지
    ▲

    티스토리툴바